티스토리 뷰

 

 

상표 출원 과정에서 가장 핵심적인 심사 기준은 바로 차별성과 식별력이다.

 

단순히 멋있어 보이는 이름이라고 해서 등록이 되는 것이 아니라, 법적으로 보호받을 수 있고 소비자에게 출처를 명확히 알려주는 기능이 있어야 한다.

 

이번 글에서는 상표 등록에 성공하기 위해 반드시 고려해야 할 네이밍 전략을 차근차근 살펴본다.


1. 차별성과 식별력이란 무엇인가? 🔍

차별성과 식별력 개념을 설명하는 장면
차별성과 식별력 개념을 설명하는 장면

 

상표법에서 말하는 식별력이란, 소비자가 상품이나 서비스를 다른 것과 구분할 수 있는 힘을 뜻한다.

 

예를 들어 “Apple”이라는 단어는 원래 과일을 의미하지만, 전자제품 분야에서는 누구나 떠올릴 수 있는 독창적인 브랜드로 인식된다. 이처럼 일상 단어라도 새로운 업종에서 차별적으로 사용되면 강력한 식별력을 갖는다.

 

반면 “컴퓨터마트”, “맛있는 치킨”처럼 설명적이고 흔한 단어들은 누구나 사용할 수 있는 표현이므로 등록이 거절된다. 상표가 보호받기 위해서는 독창적이고, 특정 사업자만의 이미지를 담아야 한다.


2. 등록이 어려운 네이밍 유형 ❌

상표 출원에서 거절되는 경우는 대부분 식별력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흔히 문제가 되는 유형은 다음과 같다.

  • 보통명칭: ‘’, ‘’, ‘자동차’처럼 상품 자체를 가리키는 말은 상표가 될 수 없다.
  • 관용표현: 업계에서 일반적으로 쓰이는 용어(예: Wi-Fi, HDMI)는 독점 불가능하다.
  • 단순 설명어: “빠른 택배”, “건강한 우유”처럼 속성만을 설명하는 경우는 식별력이 없다.
  • 지리적 명칭: “제주감귤”, “부산막걸리”처럼 특정 지역명을 그대로 사용하면 등록이 어렵다.
  • 도덕·공공질서 위반: 비속어, 차별적 표현은 법적으로 제한된다.

이런 유형을 피하지 못하면 아무리 좋은 마케팅을 해도 등록에서 막히게 된다.


3. 차별성과 식별력을 높이는 네이밍 전략 🚀

네이밍 전략을 논의하는 스타트업 팀
네이밍 전략을 논의하는 스타트업 팀

 

그렇다면 어떤 방식으로 네이밍을 해야 강력한 상표가 될 수 있을까? 대표적인 전략은 다음과 같다.

(1) 조어(造語) 활용

기존 단어를 조합하거나 철자를 변형해 새로운 단어를 만든다.

  • 예: 네이버(Naver) = Navigate + Neighbor
  • 예: 카카오톡(KakaoTalk) = 카카오(브랜드명) + Talk(대화)

이처럼 새로운 단어는 다른 기업이 흉내내기 어렵고 독점 가능성이 크다.

(2) 은유와 상징 사용

직접적으로 설명하기보다 철학이나 이미지를 담는다.

  • 예: 스타벅스(Starbucks) = 소설 「백경」에 나오는 항해사 이름에서 착안
  • 예: 나이키(Nike) = 그리스 승리의 여신 이름

소비자는 단어의 어원보다는 브랜드가 전달하는 이미지를 기억한다.

(3) 외래어·라틴어 차용

외국어는 국내 시장에서 차별성을 주면서도 발음이 쉽고 세련된 느낌을 준다.

  • 예: 아우디(Audi, 라틴어로 ‘듣다’)
  • 예: 오라클(Oracle, ‘신탁’의 의미)

단, 외래어라 하더라도 업계에서 일반적으로 쓰이는 단어라면 식별력이 부족해질 수 있다.

(4) 발음과 리듬 고려

짧고 간결하며 발음하기 쉬운 이름은 오래 기억된다.

  • 예: 코카콜라(Coca-Cola), 페이팔(PayPal)
  • 반복되는 음절, 유사한 리듬은 기억효과를 극대화한다.

(5) 네이밍 + 로고 결합

단어 자체는 다소 평범하더라도, 로고 디자인과 결합하면 식별력이 강화된다.
예를 들어, “스타”라는 단어는 흔하지만 스타벅스 로고와 함께라면 독창적 브랜드로 자리 잡는다.


4. 네이밍 실무 체크리스트 ✅

상표 출원 전에 다음 사항을 반드시 점검해야 한다.

체크 항목 설명
선행 상표 검색 KIPRIS(특허정보검색서비스)에서 동일·유사 상표가 있는지 확인
업종과의 적합성 업종과 연결되되, 설명적이지 않게 차별성 확보
확장성 고려 현재 업종뿐 아니라 미래 확장에도 적합한 이름 선택
등록 불가 유형 필터링 보통명칭, 지리명칭, 단순 설명어 등 제외
발음·디자인 결합성 말하기 쉽고, 로고와 결합해 시각적 식별력 확보

5. 성공과 실패 사례 ⚖️

상표 네이밍 성공과 실패 사례 비교
상표 네이밍 성공과 실패 사례 비교

 

  • 성공 사례: “배달의민족” → 설명적 요소가 있지만, 독창적인 조어 + 디자인적 요소로 강력한 브랜드로 성장.
  • 실패 사례: “맛있는 김밥” → 설명적 표현에 불과해 등록 불가.

사례를 보면 알 수 있듯, 결국 “소비자가 기억할 수 있는 독창성”이 상표 등록의 성패를 가른다.


6. 결론 – 좋은 상표 네임의 조건 🏆

좋은 상표 네임은 단순히 예쁘게 들리는 것이 아니라,

  1. 소비자에게 기억되기 쉽고
  2. 경쟁자와 확실히 구별되며
  3. 법적으로 독점권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이다.

즉, 네이밍은 마케팅과 법률의 교차점에서 만들어지는 전략적 작업이다. 차별성과 식별력이 뒷받침되지 않는 이름은 아무리 홍보를 해도 법적 보호를 받기 어렵다. 반대로 독창적이고 법적으로 강한 이름을 선택한다면, 브랜드는 장기적으로 큰 자산이 될 수 있다.


👉 ‘멍때리기’가 브랜드가 된다면? – 무념무상의 시대, 감성 휴식 콘텐츠의 브랜딩 전략
원문 보기

📌 본 포스트는 지식재산처의 「2025 상표심사기준」을 참조하여 작성된 글입니다. ✍️📚

 

키워드: 상표 등록, 네이밍 전략, 식별력, 차별성, 상표 출원, KIPRIS, 보통명칭, 유사상표 검색, 브랜드 네이밍, 상표 거절이유, 상표 검색 방법, 국제분류 NCL, 로고 결합 식별력, 선행조사 체크리스트, 조어 네임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TAG
more
«   2025/11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