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상표브랜드

[해외 명품 브랜드 3편] 프라다는 왜 ‘다르다’고 불릴까 – 나일론으로 명품을 뒤집은 지적이고 반항적인 브랜드

by 희망길잡이 2025. 7. 6.
반응형

 

프라다는 전통적인 명품 브랜드와는 결이 다르다.


화려하거나 고급스럽기보다는 미니멀하고 지적이다.
광택 없는 나일론, 성 중립적 디자인, 심지어 못생김조차 미학이 된다.


프라다는 명품이 “무엇을 위해 존재하는가”라는 질문을 끊임없이 던지는 브랜드다.


1. 브랜드의 시작 – 가죽가방에서 지적인 하이엔드로

1913년, 마리오 프라다(Mario Prada)는 이탈리아 밀라노 갤러리아 비토리오 엠마누엘레 2세에 고급 가죽 제품 상점을 열었다.


이 상점은 ‘프라텔리 프라다(Pratelli Prada, 프라다 형제)’라는 이름으로 시작되었고,
여행용 트렁크와 가죽 소품이 명성을 얻으며 이탈리아 왕실의 납품업체가 된다.

 

하지만 지금의 ‘프라다’는 마리오가 아닌 손녀 미우치아 프라다(Miuccia Prada)가 만든 결과물이다.
1978년부터 경영을 맡은 미우치아는 정치학 박사 출신이자 페미니즘 연극 활동가로, 전혀 다른 감각과 철학을 패션에 반영했다.


2. 아이코닉 아이템 – 나일론 백팩, 삼각 로고, 프라다 스포츠

• 포코노 나일론 백팩 (Pocono Nylon Backpack)

1984년, 미우치아는 군용 낙하산 소재였던 포코노(Pocono) 나일론으로 백팩을 선보인다.
이 가방은 가볍고 방수 기능이 뛰어나지만, 무엇보다 당시 ‘명품은 가죽이어야 한다’는 고정관념을 완전히 무너뜨렸다.
프라다의 재출발이자 새로운 정체성을 상징하는 제품이다.

• 삼각형 로고 메탈 패치

프라다 로고는 군더더기 없는 삼각형 메탈 태그로 표현된다.
이는 시그니처 백, 지갑, 신발, 의류 전반에 쓰이며, ‘절제된 존재감’을 강조하는 프라다의 미학을 상징한다.

• 리네아 로사 (Linea Rossa)

1997년 론칭된 Linea Rossa(레드 라인)는 스포츠웨어와 고급 테크웨어를 결합한 라인으로,
기능성 의류와 미래적인 감각이 결합된 컬렉션이다. 지금도 프라다의 스트리트 감성을 대표한다.


3. 철학과 전략 – 못생김의 미학, ‘생각하는 명품’

미우치아는 “나는 못생긴 것에 끌린다. 그것이 현실에 더 가깝기 때문이다”라고 말한 바 있다.


이는 프라다의 디자인 언어를 정의한다. 완벽하거나 고급스러운 아름다움보다,
불편한 진실, 모순된 감정, 여성의 권리와 정체성 같은 메시지를 전달한다.

  • 페미니즘적 접근: 여성의 몸과 권리를 존중하는 디자인, 파워슈트, 젠더리스 의상 등에서 드러남
  • 문화적 브랜드 전략: 광고보다는 전시, 영상, 건축 등을 통해 브랜드 메시지를 전개
  • 예술 후원: 1993년 설립한 ‘프라다 재단(Fondazione Prada)’을 통해 현대미술, 철학, 영화 등을 후원함

4. 상표 등록 현황 및 브랜드 보호 전략

4.1 프라다(PRADA) 상표 등록 현황 (2025년 6월 기준)

2025년 6월 현재, 프라다는 국내에서 총 212건의 상표가 등록되어 있으며, 2건이 출원 중이다.


등록 상표는 의류, 가방, 신발, 향수, 안경, 액세서리 등 다양한 상품군에 적용되어 있으며,
주요 브랜드명 외에도 자회사 및 라인 브랜드(MIU MIU, RE-PRADA 등)도 포함된다.

 

아래는 국내 등록된 프라다 상표 중 일부 예시이다:

이미지에는 다음과 같은 주요 상표가 포함되어 있다:

  • 클래식 PRADA 로고삼각형 로고 (PRADA MILANO)
  • RE-PRADA 재생 나일론 프로젝트 관련 상표
  • MIU MIU, 미우미우, 뮤뮤 등 프라다의 세컨드 브랜드
  • PRADO(프라도)FILTOMAT처럼 유사하거나 파생된 문자·도형 상표도 등록되어 있음

4.2 글로벌 상표 보호 전략

프라다는 국내뿐 아니라 유럽(EUIPO), 미국, 일본, 중국 등 전 세계 주요 시장에서 다수의 상표를 등록하고 있다.


특히 삼각형 도형 + PRADA MILANO 조합 상표는 브랜드를 대표하는 아이콘으로,
디자인 모방이나 유사상표 분쟁 시 핵심적 보호 요소로 작용한다.

 

또한, RE-NYLON, MIU MIU, LINEA ROSSA 등 다양한 하위 브랜드 및 기술 브랜드까지도
지식재산권으로 보호받으며, WIPO 국제출원을 통해 글로벌 일관된 브랜드 전략을 유지하고 있다.

 

🔗 관련 링크

KIPRIS 국내 상표 검색


5. 오늘날 프라다의 위상 – 지속 가능한 예술 지향 명품

프라다는 단지 ‘옷을 잘 만드는 브랜드’가 아니다.


지금은 Re-Nylon 프로젝트를 통해 나일론 제품을 100% 재활용 섬유로 대체하고 있으며,
라프 시몬스와의 공동 디렉터 체제로 더욱 실험적이고 지적인 패션을 지향한다.

 

MZ세대가 열광하는 이유는 ‘비싸서’가 아니라
"나의 가치관과 맞닿은 브랜드이기 때문"이다.


6. 마무리: 프라다는 명품이 아니라, 생각이다

프라다는 스스로 말한다.
“패션은 사람을 꾸미는 게 아니라, 질문하게 하는 것이다.”


못생김, 젠더, 권력, 예술, 환경… 이 모든 주제를 옷에 담아내는 브랜드.
그래서 프라다는 멋진 옷보다 멋진 시선을 입힌다.


※ 함께 보면 좋은 또 다른 상표 브랜드 모음

👉 별 계급으로 본 상표 이야기 – 삼성부터 칠성사이다까지, 브랜드는 몇 성 장군일까

👉 브랜드 로고는 가격이 아니라 시간이 만든다 – 나이키 스우시의 반전 성장기


본 브랜드의 명칭과 상표는 지식재산권 소유자인 프라다의 자산이며, 본 글은 그와 무관하게 작성되었습니다.


 

🔖 해시태그

#프라다스토리 #지적인명품 #페미니즘패션 #프라다상표 #리네아로사 #ReNylon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