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1. ‘지지배’는 무슨 뜻일까? 2. ‘지지배’라는 말의 감성과 이미지 3. 어감과 정서적 이미지가 주는 브랜드 가치 4. 브랜드화 전략 및 캐릭터 확장 가능성 5. ‘지지배’ 상표 등록 현황 분석 (2025년 5월 기준) 6. 상표 출원 전략: 등록 가능성을 높이는 방법 |
1. ‘지지배’는 무슨 뜻일까?
‘지지배’는 전통적으로는 여자아이를 낮춰 부르는 말로 사용됐었다.
과거에는 조금 놀리는 어조였지만, 지금은 오히려 복고적 감성으로 되살아나는 중이다.
특히 MZ세대는 이 단어를 장난스럽고 귀여운 옛날 표현으로 받아들이고 있다.
예시:
“야, 너 완전 지지배 같다~”
“그 지지배 또 왔어?” (귀엽게 놀리는 말)
2. ‘지지배’라는 말의 감성과 이미지
이 단어는 갖고 있는 뉘앙스가 상큼+발랄+장난기+복고감성을 전한다.
반복되는 ‘지’ 소리 → 귀엽고 약간 유치한 말맛
과거 ‘여고생’ 이미지와 연결 → 세라복, 분식집, 투명 필통 느낌
지금은 “귀여운 여자아이 캐릭터”라는 이미지로 전환 가능
그래서 지지배라는 단어는 시대를 반영한 복합 감성을 담고 있다.
→ 캐릭터화, 브랜드화에 최적!
3. 어감과 정서적 이미지가 주는 브랜드 가치
‘지지배’는 다음과 같은 감성 요소를 지닌다:
- ✔ 장난기 있는 유머
- ✔ 복고풍의 귀여움
- ✔ 여성 타깃에 친근함을 줄 수 있는 키워드
이러한 특성은 Z세대, MZ세대 여성 고객층을 대상으로 한 패션, 뷰티, 굿즈, 콘텐츠 사업에 매우 적합하다.
예: 지지배마켓, 지지배코스메틱, 지지배티비, 지지배일기장 등 다양한 확장이 가능하다.
4. 브랜드화 전략 및 캐릭터 확장 가능성
‘지지배’를 브랜드로 활용하려면 다음과 같은 전략이 효과적이다:
브랜드명 | 콘셉트 | 활용 제품 |
지지배마켓 | 레트로 감성 잡화점 | 엽서, 스티커, 머리끈 등 |
지지배룩북 | 감성패션 콘텐츠 브랜드 | 셔츠, 하이틴룩, 레이스 의상 |
지지배코스 | 장난스럽고 발랄한 뷰티 브랜드 | 틴트, 블러셔, 미러파우치 |
지지배툰 | 감성 웹툰 캐릭터 브랜드 | 일기툰, 유튜브 숏츠 |
→ ‘지지배’는 단어 하나만으로도 캐릭터화, 콘텐츠화가 가능한 고유성과 확장성을 지닌다.
5. ‘지지배’ 상표 등록 현황 분석 (2025년 5월 기준)
2025년 5월 30일 기준, ‘지지배’는 총 23건이 출원되었고 이 중 등록된 상표는 단 4건에 불과하다.
나머지는 거절되었거나 소멸된 상태다. 특히 다수의 거절 사유는 기존 등록 상표와의 유사성이 주요 원인이다.
그런데, 등록 상표인 '지지배배한복'의 '지지배배'는 새가 지저귀는 소리를 흉내 낸 의성어로도 사용되는 점에서 "지지배"라는 단어와는 전혀 다른 맥락과 의미를 지닌다.
※ 현재 등록된 대표 사례:
- (등록) 지지배배한복 – 나만의 인생샷 한복 전문브랜드
- 동일한 브랜드가 24류, 25류, 35류, 45류 등 4건 등록
→ 이는 하나의 상표가 다양한 업종에 걸쳐 범용적으로 활용될 수 있음을 보여주는 좋은 사례이다.
![]() |
6. 상표 출원 전략: 등록 가능성을 높이는 방법
현재 등록된 건수가 적다는 점은 반대로 새로운 출원자에게 기회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지지배'는 오늘 현재 등록된 상표나 출원 중인 상표가 없으므로 이 포스트를 읽는 독자께서 필요한 상품 분류를 선택한다면 등록될 가능성이 상당히 높다고 판단된다.
지정상품은 여성용 액세서리, 여성의류, 여성용품 등과 이를 판매하는 오프라인 또는 온라인 매장의 상호가 좋을 것 같다.
그리고 아래와 같이 도형과 문자를 결합하면 등록상표의 권리범위가 좁아지므로 가능한 문자 상표로 출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도형 + 문자 결합형 상표 출원 추천 ✔ 지지배코스 / 지지배툰 / 지지배의하루처럼 조합형 네이밍으로 창작성 강조 ✔ 영문 네이밍 병행: JIJIBAE / Zizibae / G.G.BAE 등 활용 가능
→ 출원 전 유사 상표 검색을 통해 충돌 가능성 미리 확인 후 진행할 것.
※ 마무리 및 상표권자에 대한 양해문
본문에 언급된 ‘지지배배한복’ 등 등록된 상표 및 브랜드 로고는 해당 상표권자의 정당한 권리에 기반하고 있으며, 상표권 보호 범위 내에서 존중되어야 합니다. 이 콘텐츠는 상표 분석과 브랜드 전략적 시사점을 제공하기 위한 설명 목적으로 작성되었음을 밝힙니다.
※ 함께 보면 좋은 글
- 동화약품은 활명수 로고를 왜 ‘부채표’로 했을까?
- 부정적 어감의 단어 ‘깡’, 브랜드는 어떻게 반전을 만들었을까?
- 촌스러울 줄 알았던 한글 브랜드 ‘삼성’ – 왜 세계가 이 이름에 주목하는가
'상표브랜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덜렁이’가 브랜드가 된다면? – 허당미와 실수의 매력을 담은 친근한 캐릭터 브랜딩 전략 (105) | 2025.06.07 |
---|---|
'멍때리기’가 브랜드가 된다면? – 무념무상의 시대, 감성 휴식 콘텐츠의 브랜딩 전략 (100) | 2025.06.06 |
‘꿀꿀이죽’이 브랜드가 된다면? – 귀여움과 유쾌함으로 기억되는 상표 브랜딩 전략 (66) | 2025.06.04 |
[스포츠 브랜드 1편] 브랜드 로고는 가격이 아니라 시간이 만든다 – 나이키 스우시의 반전 성장기 (120) | 2025.06.03 |
촌스러울 줄 알았던 한글 브랜드 '삼성' – 왜 세계가 이 이름에 주목하는가? (74) | 2025.06.02 |